2020-02-12T12:15:33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5. 이슬람과 자선 공산주의자와 식민지적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이슬람이란 부자들에 의한 자선제도에 사람들이 의존 하도록 하여 사회를 무기력하게 만든다는 비난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그릇 된 비난은 구빈 세 즉 “자카트”가 부유한 사람들이 행해야 하는 의무적인 자선이라고 믿는 데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러한 비판을 반박하기에 앞서 우리들은 구빈 세와 자선을 구분해야 할 […]
2020-02-12T12:15:32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4. 우주 법칙과 질서 사이에 존재하는 조화 하나님께서는 여러 선지자들을 종교와 삶의 방식으로서. 마지막으로는 그 완성을 위함으로 무함마드를 보내셨습니다. 경배 방식과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우주 질서에 조화롭고 순수한 인간 이성과 판단에 상응하는 올바른 법률을 포함 하였습니다. 이슬람에서 경배방식에 대한 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지순례 의무 예식 동안에 무슬림들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대로 […]
2020-02-12T12:15:32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4.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면 곧 두 가지의 중요한 목표 탐구에 있노라고 할 수도 있을 겁니다. 이 목표 달성을 위해 살아가는 건 완전하고 적극적 삶을 누리게끔 하며, 인류를 위한 경험 과 진보에 큰 공헌을 하게 될 것 입니다. 그렇다면 그 두 가지 중요한 목표라면 무엇을 말 하는 것 일까요? 첫째 목표라면 […]
2020-02-12T12:15:31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3. 이슬람: 하나님께서 높이신 선지자들과 사도들에 대한 믿음으로의 부름 참으로 이슬람은 하나님(높으신)의 모든 예언자들과 선지자들에 대한 믿음과 그들의 높임 받은 지위와 의미에 대한 믿음으로 인도합니다. 이는 그들이 하나님께서 그 분의 창조물과 종복 들에게 보여주신 명령, 금지사항, 법 그리고 방향들을 인간들에게 전하도록 하나님으로부터 선택 받은 자 들이기 때문입니다. 처녀인 어머니에게서 그리스도가 […]
2020-02-12T12:15:31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3. 이슬람과 처벌의 개념 어떤 사람들은 가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오래 전 사막에서 적용했던 것과 같은 원시적인 처벌의 방법을 오늘날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단돈 몇 푼 때문에 도둑의 손을 자르게 할 수 있을까? 죄인을 사회 희생물처럼 취급하며 죄인에게 처벌보다는 의료적 보살핌을 주려 하는 20세기 국가에서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어째서 북아프리카에서는 […]
2020-02-12T12:15:30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2. 꾸란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정확한 출처 때문에, 계시서 중 구약성서나 신약성서와는 함께 나눌 수 없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구약성서와 복음서가 현존하는 형태로 전해지기 전에 변질이 있었다고 비판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선지자 당시 바로 기록 되었다는 간단한 이유 만으로도, 꾸란은 여기에 해당되지를 않습니다. 앞으로 이 경전이 어떻게 기록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 […]
2020-02-12T12:15:30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2. 우주의 팽창 우주의 팽창 현상은 현대 과학이 발견한 가장 훌륭한 업적입니다. 오늘날에는 이것이 정설로서 결정되었고 단지 논쟁 대상은 이 팽창이 계속되고 있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상대성 이론으로 이것이 우선 제안되었으며, 은하 스펙트럼의 검사결과 물리학에서 지지하였고, 그 스펙트럼의 붉은 부분을 향한 규칙적 움직임은 한 은하계에서 다른 곳까지 거리로 설명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하여 […]
2020-02-12T12:15:29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1. 인류의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 중 오늘날 용어로서 사회학이라고 부르는 분야는 역사 기록에 있어서 양자도약 같은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이 도약을 이룩한 사람은 아부 자이드 압둘 라흐만 이븐 무함마드 이븐 칼둔 Abu Zayd Abd al-Rahman Ibn Muhammad ibn Khaldun(808 AH/ 1406 CE 사망)입니다. 이븐 칼둔은 ‘아랍인, 페르시아인, 베르베르인 그리고 그들과 동 시대 지배자에 […]
2020-02-12T12:15:29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1. 꾸란 언어와 비유는 신을 자신이 창조한 것과 비슷하게 만들지 않으면서도 적절히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꾸란 전체와 무함마드의 언행록에 그리고 이슬람 역사전체에 이러한 초월 개념이 적용되었습니다. 이슬람 주류사상가 모두, 심지어 철학자와 문학가까지도 같은 노선을 따랐습니다. 그들 모두 초월적 하나님이 신비롭고, 말로 형언할 수 없으며, 인간이 하나님의 본질을 알 수 없지만, 동시에 하나님의 […]
2020-02-12T12:15:28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0. 두 종교의 잘못된 이해가 생긴 이유는 시간이 흐르면서 기존 계시가 의도에 의해 혹은 본의 아니게 왜곡되었기 때문이며, 이슬람은 꾸란으로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순수한 본래 말씀을 회복했다고 여깁니다. 이슬람은 신의 말씀과 인간의 말을 뒤섞은 과거의 실수를 피해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이슬람은 원본성서를 확실히 보전함으로써 계시의 순수성을 지키고, 세월에 따른 변화를 막아왔습니다. 이는 신의 […]
2020-02-12T12:15:28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10. 히잡, 성, 그리고 본질주의 자유주의와 신 구조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인간의 행동과 욕구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히잡과 같이 전통적인 남성, 여성 차이를 강조하는 요소들은 특히나 사회적 구조의 산물이라고 여깁니다. 꾸란 자체도 히잡 착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남녀 의복 차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꾸란은 짧은 두 개의 설명을 제공하는데 이것 […]
2020-02-12T12:15:27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9. 꾸란과 순나에 등장하는 여성과 성 히잡 착용에 대한 메리니시의 주장은 이슬람이 여성의 성을 위험하다고 간주하며 통제되어야 한다고 바라본다는 그녀 결론에서 기인합니다. 그녀는 더 나아가 이슬람이 ‘여성성’이 성스러운 영역에 반한다는 관점을 포지하여 이슬람이 부부의 사랑을 금기 시 한다는 주장을 펼칩니다. 여성은 남성과 하나님의 관계에 위협 됨으로 가려져야만 하며 무슬림 공동체로부터 격리 및 […]
2020-02-12T12:15:27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9. 히잡의 다양한 의미 히잡 착용의 사회적 복합성은 서구의 보편적인 믿음인 “히잡(히잡 종류가 하나인양)은 무슬림 여성의 억압을 상징한다.”라는 시선에 전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서구세계에서 통용되는 히잡을 착용하는 여성들에 대한 깊은 오해, 즉 그들이 강요와 강압에 의해 히잡을 착용하며 이는 ‘억압의 증표’라는 주장을 타파하는 것 입니다. 히잡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들에 중점을 두고 독자들로 […]
2020-02-12T12:15:26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8. 두 번째 장 캐나다에서의 히잡 착용의 인식과 경험 내가 히잡을 착용하기 시작 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캐나다 퀘백주에 위치한 몬트리올에 사는 두 명의 학생들이 수업 중 히잡을 벗지 않았다는 이유로 집에 되돌려 보내졌습니다. 이와 같은 사건은 캐나다 전역에 걸쳐 히잡의 의미와 히잡이 캐나다 사회에서 차지하는 지위에 대한 논란의 불씨를 지폈습니다. […]
2020-02-12T12:15:26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8. 1991년 터기 여성들이 히잡으로 회귀하는 방송을 보면서 그들에 대한 충격과 슬픔에 휩싸였습니다. 아직도 문화에 의해 세뇌를 당하는 여성들이 가엽게만 여겨졌습니다. 많은 서양인들처럼 나 또한 이슬람은 여성들을 억압하고 있으며, 히잡이야 말로 그들을 억압하는 상징으로 믿고 있었습니다. 그러한 측면에서 4년 후 상점 쇼윈도에 비친 내 모습이 억압받고 있던 여성들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을 […]
2020-02-12T12:15:25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7. 이슬람이 평화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알기 위해서, 이슬람에 관한 몇 가지 기본 사실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평화와 이슬람은 같은 어원에서 파생한 용어로서 동의어로 볼 수 있습니다. 또 하나님의 아흔아홉 이름(덕성) 중 하나가 평화입니다. 모든 무슬림이 일상 예배를 끝내며 하는 말도 평화입니다. 무슬림이 하나님께 돌아갈 때 하는 인사는 평화입니다. 무슬림이 일상적으로 주고받는 인사도 평화라는 […]
2020-02-12T12:15:25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7. 매우 중요한 이슬람 제도이자 이슬람 신앙의 기둥은 구빈세 (자카 Zakah)입니다. 다른 언어에는 꾸란의 ‘자카’와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해하기 쉽게 ‘구빈세’로 표현하겠습니다. 구빈세는 자선의 일종이나 희사 혹은 세금이나 십일조에 불과한 것이 아니며, 단지 호의의 표시도 아닙니다. 구빈세는 이 모든 의미를 합한 것 이상입니다. 자기 재산에서 일정 비율을 공제하는데 그치는 […]
2020-02-12T12:15:24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6. 개선성은 본질성이나 필요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유형의 이슬람 판결에 반영됩니다. 이에 대해 알 샤티비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개선성은) 예배에 임하면서 몸에 있는 불순한 것을 제거하는 것, 예배의식에 처음부터 끝까지 순수하게 집중하는 것, 개인의 치부 가리기, 장신구 착용, 자발적 헌금 등 보다 더 적극적 예배 행위로 하나님께 더 가까이 다가가려고 하는 것 등을 […]
2020-02-12T12:15:24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6. 하나님은 하나님 종복 들이 현세와 내세에서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선지자들을 통해 계시를 보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하나님의 법률이 지닌 전반적 목표는 다양한 요소에게 기대는 여러 사회에서 각기 다른 정도로 실현되었습니다. 각 사회에서 어떤 요소는 (하나님의) 법률이 인간에게 유익을 주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사회와 상황이 이렇게 다양하고 불 균등하다는 점을 관찰한 무즈타히드(이성주의자)는, […]
2020-02-12T12:15:23
Originally posted 2020-02-12 12:13:05. 역사서에는 유대인들이 약속된 땅 (아마 기원전 13세기 말엽) 에 와서부터 기원전 6세기 바빌론으로 추방될 때까지 역사가 나옵니다. 여기서 강조해야 할 것은 신 말씀의 이행이라고 하는 소위 ‘민족적 사건’ 입니다. 그러나 그 이야기 속에는 역사의 정확성이 거의 무시되었으니 여호수아서 (Book of Joshua) 같은 책은 제일 먼저 신학적 의도에 따른 것입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E. 야콥은 여리고 (Jericho) 와 아이 (Ay) 도시가 파괴되었다고 추측할 경우 고고학과 본문 내용 사이에 분명한 모순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사사기 (Book of Judges) 는 적에게 포위당해 싸우는 선택 받은 민족의 방어와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베푸신 후원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레프브르 (A. Lefevre) 신부가 크랑뽕 성경 (Crampon Bible) 머리말에서 상당히 객관적으로 언급하듯이 사사기는 여러 번 개작되었습니다. 즉 본문의 여러 서론과 첨부된 각 주가 이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룻 (Ruth) 의 이야기가 사사기의 이야기에 보태졌던 것입니다. 더구나 사무엘서 (Book […]